header('Cache-Control: no-store'); //no cache session_cache_limiter('private_no_expire'); // works //session_cache_limiter('public'); // works too session_start(); ?>
작성자 | 김진욱, 김민경, 박성철, 김현주, 정상필 |
---|---|
기관명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KEDI, 디앤비건축, 세한대학교 |
연구기간 | 0-0 |
연구개요 |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지난 2016년 3월 알파고 등장은 4차 산업혁명의 인공지능(AI),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3D 프린터 등 지능정보화기술은 학습형식의 변화, 학교 교육의 형태변화 등 교육의 가능성을 확장 2)이러한 기술진보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 강화로써 창의력과 학습자의 개별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맞춤형 교육이 강조 3)그러나 1970년대와 오늘날의 학교 공간은 더욱 우수한 환경을 제공하고는 있지만, 정면의 칠판과 교탁을 응시하고 있는 경직된 방향은 물론이며, 사각형의 공간과 사각형의 딱딱한 책상의 배치 등은 오랫동안 변하지 않은 학교 공간의 모습으로 유지 4) 선행연구에 따르면, 미래학교 공간 조성 3가지 (1) 핵심역량 함양과 창의·융합 교육이 가능한 공간 (2) 다양성 및 개별화 중심의 학생 참여형 교육이 이루어지는 공간 (3) 학생 성장의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공간 = 기존의 단조로운 교실 내에서 이루어지는 활동보다 가변적이고 활동이 자유로운 융통성 있는 공간이 필요하고, 일방적 전달보다는 학생의 능동적 참여와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으로 구축 5) 학생 수 감소에 따른 학교의 사용하지 않는 교실이 발생하거나 통폐합해야 하는 학교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임에 따라, 유휴교실을 비롯한 페교 등 빈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필요성 제기 6) 대한민국 복합화는 1997년부터 학교의 부지 내에 보육, 교육, 평생교육시설과 2000년 이후 문화공간인 체육관, 수영장, 도서관, 공용 주차장 등 시설을 학교내 배치하여 공동으로 사용 취지로 시작 7) 최근, 신도시형은 학교신설단계부터 지역커뮤니티 시설과 연계한 학교복합시설을 조성하거나, 구도심형은 학생수 감소에 따른 유휴공간에 주차장 마련 등 학교복합시설을 설치하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음 8) 학교복합화 계획에 따른 미래학교의 복합화 방은을 통한 교육격차 요구 해소 및 증가하는 유휴공간 및 시설을 고려한 단위학교 맞춤형 미래공간 설계요소를 개발하고자 함 |
첨부파일 |
2022년 그린스마트스쿨 정책 효과성 향상 방안 위탁 용역 4세부.pdf |
연구결과정보 | |
참고 URL | http:// |